일본의 연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아스카 시대 (592년~710년)
- 3. 나라 시대 (710년~794년)
- 4. 헤이안 시대 (794년~1185년)
- 4.1. 다이도 (大同, 806년~810년)
- 4.2. 고닌 (弘仁, 810년~824년)
- 4.3. 덴초 (天長, 824년~834년)
- 4.4. 조와 (承和, 834년~848년)
- 4.5. 가쇼 (嘉祥, 848년~851년)
- 4.6. 닌주 (仁寿, 851년~854년)
- 4.7. 사이코 (斉衡, 854년~857년)
- 4.8. 덴난 (天安, 857년~859년)
- 4.9. 조간 (貞観, 859년~877년)
- 4.10. 간교 (元慶, 877년~885년)
- 4.11. 닌나 (仁和, 885년~889년)
- 4.12. 간표 (寛平, 889년~898년)
- 4.13. 쇼타이 (昌泰, 898년~901년)
- 4.14. 엔기 (延喜, 901년~923년)
- 4.15. 엔초 (延長, 923년~931년)
- 4.16. 조헤이 (承平, 931년~938년)
- 4.17. 덴교 (天慶, 938년~947년)
- 4.18. 덴랴쿠 (天暦, 947년~957년)
- 4.19. 덴토쿠 (天徳, 957년~961년)
- 4.20. 오와 (応和, 961년~964년)
- 4.21. 고호 (康保, 964년~968년)
- 4.22. 안나 (安和, 968년~970년)
- 4.23. 덴로쿠 (天禄, 970년~973년)
- 4.24. 덴엔 (天延, 973년~976년)
- 4.25. 조겐 (貞元, 976년~978년)
- 4.26. 덴겐 (天元, 978년~983년)
- 4.27. 에이간 (永観, 983년~985년)
- 4.28. 간나 (寛和, 985년~987년)
- 4.29. 에이엔 (永延, 987년~989년)
- 4.30. 에이소 (永祚, 989년~990년)
- 4.31. 쇼랴쿠 (正暦, 990년~995년)
- 4.32. 조토쿠 (長徳, 995년~999년)
- 4.33. 조호 (長保, 999년~1004년)
- 4.34. 간코 (寛弘, 1004년~1012년)
- 4.35. 조와 (長和, 1012년~1017년)
- 4.36. 간닌 (寛仁, 1017년~1021년)
- 4.37. 지안 (治安, 1021년~1024년)
- 4.38. 만주 (万寿, 1024년~1028년)
- 4.39. 조겐 (長元, 1028년~1037년)
- 4.40. 조랴쿠 (長暦, 1037년~1040년)
- 4.41. 조큐 (長久, 1040년~1044년)
- 4.42. 간토쿠 (寛徳, 1044년~1046년)
- 4.43. 에이쇼 (永承, 1046년~1053년)
- 4.44. 덴기 (天喜, 1053년~1058년)
- 4.45. 고헤이 (康平, 1058년~1065년)
- 4.46. 지랴쿠 (治暦, 1065년~1069년)
- 4.47. 엔큐 (延久, 1069년~1074년)
- 4.48. 조호 (承保, 1074년~1077년)
- 4.49. 조랴쿠 (承暦, 1077년~1081년)
- 4.50. 에이호 (永保, 1081년~1084년)
- 4.51. 오토쿠 (応徳, 1084년~1087년)
- 4.52. 간지 (寛治, 1087년~1094년)
- 4.53. 가호 (嘉保, 1094년~1096년)
- 4.54. 에이초 (永長, 1096년~1097년)
- 4.55. 조토쿠 (承徳, 1097년~1099년)
- 4.56. 고와 (康和, 1099년~1104년)
- 4.57. 조지 (長治, 1104년~1106년)
- 4.58. 가쇼 (嘉承, 1106년~1108년)
- 4.59. 덴닌 (天仁, 1108년~1110년)
- 4.60. 덴에이 (天永, 1110년~1113년)
- 4.61. 에이큐 (永久, 1113년~1118년)
- 4.62. 겐에이 (元永, 1118년~1120년)
- 4.63. 호안 (保安, 1120년~1124년)
- 5. 가마쿠라 시대 (1185년~1333년)
- 5.1. 분지 (文治, 1185년~1190년)
- 5.2. 겐큐 (建久, 1190년~1199년)
- 5.3. 쇼지 (正治, 1199년~1201년)
- 5.4. 겐닌 (建仁, 1201년~1204년)
- 5.5. 겐큐 (元久, 1204년~1206년)
- 5.6. 겐에이 (建永, 1206년~1207년)
- 5.7. 조겐 (承元, 1207년~1211년)
- 5.8. 겐랴쿠 (建暦, 1211년~1213년)
- 5.9. 겐포 (建保, 1213년~1219년)
- 5.10. 조큐 (承久, 1219년~1222년)
- 5.11. 조오 (貞応, 1222년~1224년)
- 5.12. 겐닌 (元仁, 1224년~1225년)
- 5.13. 가로쿠 (嘉禄, 1225년~1227년)
- 5.14. 안테이 (安貞, 1227년~1229년)
- 5.15. 간키 (寛喜, 1229년~1232년)
- 5.16. 조에이 (貞永, 1232년~1233년)
- 5.17. 덴푸쿠 (天福, 1233년~1234년)
- 5.18. 분랴쿠 (文暦, 1234년~1235년)
- 5.19. 가테이 (嘉禎, 1235년~1238년)
- 5.20. 랴쿠닌 (暦仁, 1238년~1239년)
- 5.21. 엔오 (延応, 1239년~1240년)
- 5.22. 닌지 (仁治, 1240년~1243년)
- 5.23. 간겐 (寛元, 1243년~1247년)
- 5.24. 호지 (宝治, 1247년~1249년)
- 5.25. 겐초 (建長, 1249년~1256년)
- 5.26. 고겐 (康元, 1256년~1257년)
- 5.27. 쇼카 (正嘉, 1257년~1259년)
- 5.28. 쇼겐 (正元, 1259년~1260년)
- 5.29. 분오 (文応, 1260년~1261년)
- 5.30. 고초 (弘長, 1261년~1264년)
- 5.31. 분에이 (文永, 1264년~1275년)
- 5.32. 겐지 (建治, 1275년~1278년)
- 5.33. 고안 (弘安, 1278년~1288년)
- 5.34. 쇼오 (正応, 1288년~1293년)
- 5.35. 에이닌 (永仁, 1293년~1299년)
- 5.36. 쇼안 (正安, 1299년~1302년)
- 5.37. 겐겐 (乾元, 1302년~1303년)
- 5.38. 가겐 (嘉元, 1303년~1306년)
- 5.39. 도쿠지 (徳治, 1306년~1308년)
- 5.40. 엔쿄 (延慶, 1308년~1311년)
- 5.41. 오초 (応長, 1311년~1312년)
- 5.42. 쇼와 (正和, 1312년~1317년)
- 5.43. 분포 (文保, 1317년~1319년)
- 5.44. 겐오 (元応, 1319년~1321년)
- 5.45. 겐코 (元亨, 1321년~1324년)
- 5.46. 쇼추 (正中, 1324년~1326년)
- 5.47. 가랴쿠 (嘉暦, 1326년~1329년)
- 5.48. 겐토쿠 (元徳, 1329년~1331년/1332년)
- 6. 겐무 신정 (1333년~1336년)
- 7. 무로마치 시대 (1336년~1573년)
- 7.1. 난보쿠초 시대 남조(南朝) (1336년~1392년)
- 7.2. 난보쿠초 시대 북조(北朝) (1338년~1394년)
- 7.2.1. 랴쿠오 (暦応, 1338년~1342년)
- 7.2.2. 고에이 (康永, 1342년~1345년)
- 7.2.3. 조와 (貞和, 1345년~1350년)
- 7.2.4. 간노 (観応, 1350년~1352년)
- 7.2.5. 분나 (文和, 1352년~1356년)
- 7.2.6. 엔분 (延文, 1356년~1361년)
- 7.2.7. 고안 (康安, 1361년~1362년)
- 7.2.8. 조지 (貞治, 1362년~1368년)
- 7.2.9. 오안 (応安, 1368년~1375년)
- 7.2.10. 에이와 (永和, 1375년~1379년)
- 7.2.11. 고랴쿠 (康暦, 1379년~1381년)
- 7.2.12. 에이토쿠 (永徳, 1381년~1384년)
- 7.2.13. 시토쿠 (至徳, 1384년~1387년)
- 7.2.14. 가케이 (嘉慶, 1387년~1389년)
- 7.2.15. 고오 (康応, 1389년~1390년)
- 7.2.16. 메이토쿠 (明徳, 1390년~1394년)
- 7.3. 통합 정권/지묘인 황통 (1394년~1573년)
- 7.3.1. 오에이 (応永, 1394년~1428년)
- 7.3.2. 쇼초 (正長, 1428년~1429년)
- 7.3.3. 에이쿄 (永享, 1429년~1441년)
- 7.3.4. 가키쓰 (嘉吉, 1441년~1444년)
- 7.3.5. 분안 (文安, 1444년~1449년)
- 7.3.6. 호토쿠 (宝徳, 1449년~1452년)
- 7.3.7. 교토쿠 (享徳, 1452년~1455년)
- 7.3.8. 고쇼 (康正, 1455년~1457년)
- 7.3.9. 조로쿠 (長禄, 1457년~1460년)
- 7.3.10. 간쇼 (寛正, 1460년~1466년)
- 7.3.11. 분쇼 (文正, 1466년~1467년)
- 8. 센고쿠 시대 (1467년~1573년)
- 8.1. 오닌 (応仁, 1467년~1469년)
- 8.2. 분메이 (文明, 1469년~1487년)
- 8.3. 조쿄 (長享, 1487년~1489년)
- 8.4. 엔토쿠 (延徳, 1489년~1492년)
- 8.5. 메이오 (明応, 1492년~1501년)
- 8.6. 분키 (文亀, 1501년~1504년)
- 8.7. 에이쇼 (永正, 1504년~1521년)
- 8.8. 다이에이 (大永, 1521년~1528년)
- 8.9. 교로쿠 (享禄, 1528년~1532년)
- 8.10. 덴분 (天文, 1532년~1555년)
- 8.11. 고지 (弘治, 1555년~1558년)
- 8.12. 에이로쿠 (永禄, 1558년~1570년)
- 8.13. 겐키 (元亀, 1570년~1573년)
- 9.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1573년~1603년)
- 10. 에도 시대 (1603년~1868년)
- 참조
1. 개요
일본의 연호는 일본 역사의 특정 시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 연도 명칭 체계이다. 645년 다이카(大化)를 시작으로, 아스카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다양한 연호가 사용되었으며, 각 연호는 천황의 즉위, 헌상, 천재지변 등 다양한 이유로 변경되었다. 연호는 시대의 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로서, 일본 역사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일본의 연호 | |
---|---|
개요 | |
구분 | 일본의 연호 |
유형 | 일본사 |
기원 | 율령 |
시작 시기 | 645년 (다이카) |
종료 시기 | 현재 |
사용 국가 | 일본 |
존속 여부 | 존속 |
소속 문화권 | 동아시아 문화권 |
역사 | |
최초의 연호 | 다이카 (645년 ~ 650년) |
가장 최근 연호 | 레이와 (2019년 5월 1일 ~ 현재) |
연호 개원 횟수 | 248회 |
가장 짧은 연호 | 레이키 (1년) |
가장 긴 연호 | 쇼와 (64년) |
특징 | |
정하는 주체 | 천황 |
결정 방법 | 각의에서 결정 |
법적 근거 | 연호법 |
선택 원칙 | 주역 서경 등 유교 경전에서 유래 좋은 의미를 가질 것 2글자 읽기 쉽고 쓰기 쉬울 것 지금까지 쓰인 연호 또는 시호와 겹치지 않을 것 |
적용 시점 | 고대에는 천황 즉위, 재해, 역병 등을 이유로 수시로 개원 |
변화 | 메이지 유신 이후 천황 1대에 1연호로 정착 |
2. 아스카 시대 (592년~710년)
고토쿠 천황 때인 645년 7월 17일(음력 6월 19일) 일본 최초의 연호인 다이카(大化)가 사용되었다. 이후 650년 3월 22일(음력 2월 15일) 아나토 국에서 흰 꿩을 헌상받아 하쿠치(白雉)로 개원하였다. 654년 고토쿠 천황의 붕어로 연호 사용이 중지되었다가, 686년 8월 14일(음력 7월 20일) 덴무 천황이 슈초(朱鳥) 연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686년 9월 30일(음력 9월 8일) 덴무 천황의 붕어로 다시 연호 사용이 중지되었다.
701년 5월 3일 몬무 천황 때 쓰시마국에서 금을 헌상받아 다이호(大宝)로 개원하면서 연호가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704년 6월 16일에는 상서로운 구름(瑞雲)이 나타나 게이운(慶雲)으로 개원하였고, 708년 2월 7일 겐메이 천황 때 무사시국에서 동(銅)을 헌상받아 와도(和銅)로 개원하였다.
국왕 | 사용년도 (음력/양력) | 연호 이름 | 가나 표기 | 한국 한자음 | 한자 표기 (일본식/번체) | 년수 | 개원 이유 | |
---|---|---|---|---|---|---|---|---|
고토쿠 천황 (孝德天皇) | 645년 6월 19일 (7월 17일) <고토쿠 천황 원년> | 650년 2월 14일 (3월 21일) <고토쿠 천황 6년> | 다이카 | たいか | 대화 | 大化 | 6년 | 고토쿠 천황 천조. |
650년 2월 15일 (3월 22일) <고토쿠 천황 6년> | 654년 10월 10일 (11월 24일) <고토쿠 천황 10년> | 하쿠치 | はくち | 백치 | 白雉 | 5년 | 아나토 국(아나토 국/穴戸国일본어)에서 꿩(白雉)을 헌상받음. | |
(미개원) | 654년 10월 11일 (11월 25일) <사이메이 천황 원년> | 686년 7월 19일 (8월 13일) <덴무 천황 15년> | (고토쿠 천황 붕어로 사용정지, 이후 32년간 연호가 중단) | |||||
덴무 천황 (天武天皇) | 686년 7월 20일 (8월 14일) <덴무 천황 15년> | 686년 9월 8일 (9월 30일) <덴무 천황 15년> | 슈초 (스초 /아카미도리) | しゅちょう (すちょう /あかみどり) | 주조 | 朱鳥 | 1년 | |
(미개원) | 686년 9월 9일 (10월 1일) <지토 천황 원년> | 701년 3월 20일 (5월 3일) <몬무 천황 5년> | (덴무 천황 붕어로 사용정지, 이후 15년간 연호가 중단) | |||||
몬무 천황 (文武天皇) | 701년 3월 21일 (5월 4일) <몬무 천황 5년> | 704년 5월 9일 (6월 15일) <몬무 천황 8년> | 다이호 (타이호) | だいほう (たいほう) | 대보 | 大宝일본어 (大寶) | 4년 | 쓰시마국에서 금을 헌상받음. 이 연호 이후로 계속 사용됨. |
704년 5월 10일 (6월 16일) <몬무 천황 8년> | 708년 1월 10일 (2월 6일) <겐메이 천왕 2년> | 게이운 (교운) | けいうん (きょううん) | 경운 | 慶雲 | 5년 | 상서로운 구름(瑞雲)이 나타남. | |
겐메이 천황 (元明天皇) | 708년 1월 11일 (2월 7일) <겐메이 천왕 2년> | 715년 9월 1일 (10월 2일) <겐쇼 천황 원년> | 와도 | わどう | 화동 | 和銅 | 8년 | 무사시국에서 동(銅)을 헌상받음. |
2. 1. 다이카 (大化, 645년~650년)
2. 2. 하쿠치 (白雉, 650년~654년)
2. 3. 연호 사용 중단 (654년~686년)
2. 4. 슈초 (朱鳥, 686년)
2. 5. 연호 사용 중단 (686년~701년)
2. 6. 다이호 (大宝, 701년~704년)
2. 7. 게이운 (慶雲, 704년~708년)
2. 8. 와도 (和銅, 708년~715년)
3. 나라 시대 (710년~794년)
나라 시대는 710년부터 794년까지의 시기로, 이 시기에는 레이키(霊亀)부터 엔랴쿠(延暦)까지의 연호가 사용되었다.
겐메이 천황은 715년 9월 2일 레이키(레이키/霊亀일본어)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는데, 717년 11월 17일에는 요로(養老)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쇼무 천황은 724년 2월 4일 진키(神亀)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729년 8월 5일 덴표(天平)로 변경하였다. 749년 4월 14일에는 덴표칸포(天平感宝)로 연호를 변경했는데, 그 해 7월 2일 덴표쇼호(天平勝宝)로 다시 변경하였다.
고켄 천황은 749년 7월 2일 즉위하면서 덴표쇼호 연호를 이어 사용하다가, 757년 8월 18일 덴표호지(天平宝字)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쇼토쿠 천황은 765년 1월 7일 덴표진고(天平神護)로 연호를 변경하였고, 767년 8월 16일 진고케이운(神護景雲)으로 다시 변경하였다.
고닌 천황은 770년 10월 1일 호키(宝亀)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781년 1월 1일 덴오(天応)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간무 천황은 782년 8월 19일 엔랴쿠(延暦) 연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806년 5월 18일까지 사용하였다.
3. 1. 레이키 (霊亀, 715년~717년)
3. 2. 요로 (養老, 717년~724년)
3. 3. 진키 (神亀, 724년~729년)
3. 4. 덴표 (天平, 729년~749년)
3. 5. 덴표칸포 (天平感宝, 749년)
3. 6. 덴표쇼호 (天平勝宝, 749년~757년)
3. 7. 덴표호지 (天平宝字, 757년~765년)
3. 8. 덴표진고 (天平神護, 765년~767년)
3. 9. 진고케이운 (神護景雲, 767년~770년)
3. 10. 호키 (宝亀, 770년~781년)
3. 11. 덴오 (天応, 781년~782년)
3. 12. 엔랴쿠 (延暦, 782년~806년)
4. 헤이안 시대 (794년~1185년)
헤이제이 천황대에 806년 다이도(大同)로 개원하였다. 이후 사가 천황대에 고닌(弘仁), 준나 천황대에 덴초(天長)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닌묘 천황대에 덴초 연호가 조와(承和)로 변경되었고, 이후 가쇼(嘉祥)로 다시 연호를 변경하였다.
몬토쿠 천황대에는 가쇼 연호 이후 닌주(仁寿), 사이코(斉衡), 덴난(天安)으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세이와 천황대에 덴난 연호가 조간(貞観)으로 변경되었고, 이후 요메이 천황대에 간교(元慶)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고코 천황대에는 간교 연호가 닌나(仁和)로 변경되었고, 이후 우다 천황대에 간표(寛平)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다이고 천황대에 간표 연호 이후, 쇼타이(昌泰), 엔기(延喜), 엔초(延長)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스자쿠 천황대에 엔초 연호 이후 조헤이(承平), 덴교(天慶)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무라카미 천황대에는 덴교 연호 이후 덴랴쿠(天暦), 덴토쿠(天徳), 오와(応和), 고호(康保)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레이제이 천황대에 고호 연호가 안나(安和)로 변경되었다.
엔유 천황대에는 안나 연호 이후, 덴로쿠(天禄), 덴엔(天延), 조겐(貞元), 덴겐(天元), 에이간(永観)으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가잔 천황대에 에이간 연호가 간나(寛和)로 변경되었다. 이치조 천황대에는 간나 연호 이후, 에이엔(永延), 에이소(永祚), 쇼랴쿠(正暦), 조토쿠(長徳), 조호(長保), 간코(寛弘)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산조 천황대에 간코 연호가 조와(長和)로 변경되었다. 고이치조 천황대에는 조와 연호 이후, 간닌(寛仁), 지안(治安), 만주(万寿), 조겐(長元)으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고스자쿠 천황대에는 조겐 연호 이후, 조랴쿠(長暦), 조큐(長久), 간토쿠(寛徳)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고레이제이 천황대에는 간토쿠 연호 이후, 에이쇼(永承), 덴기(天喜), 고헤이(康平), 지랴쿠(治暦)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고산조 천황대에 지랴쿠 연호가 엔큐(延久)로 변경되었다. 시라카와 천황대에는 엔큐 연호 이후, 조호(承保), 조랴쿠(承暦), 에이호(永保), 오토쿠(応徳)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호리카와 천황대에는 오토쿠 연호 이후, 간지(寛治), 가호(嘉保), 에이초(永長), 조토쿠(承徳), 고와(康和), 조지(長治), 가쇼(嘉承)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도바 천황대에는 가쇼 연호 이후, 덴닌(天仁), 덴에이(天永), 에이큐(永久), 겐에이(元永), 호안(保安)으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스토쿠 천황대에는 호안 연호 이후, 덴지(天治), 다이지(大治), 덴쇼(天承), 조쇼(長承), 호엔(保延), 에이지(永治)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고노에 천황대에는 에이지 연호 이후, 고지(康治), 덴요(天養), 규안(久安), 닌페이(仁平), 규주(久寿)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고시라카와 천황대에 규주 연호가 호겐(保元)으로 변경되었다. 니조 천황대에는 호겐 연호 이후, 헤이지(平治), 에이랴쿠(永暦), 오호(応保), 조칸(長寛), 에이만(永万)으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로쿠조 천황대에 에이만 연호가 닌난(仁安)으로 변경되었다.
다카쿠라 천황대에는 닌난 연호 이후, 가오(嘉応), 조안(承安), 안겐(安元), 지쇼(治承)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안토쿠 천황대에는 지쇼 연호 이후, 요와(養和), 주에이(寿永)로 연호를 변경하였다. 주에이 연호는 겐지측과 헤이케측에서 다르게 사용되었다. 고토바 천황대에 주에이 연호가 겐랴쿠(元暦)로 변경되었다.
4. 1. 다이도 (大同, 806년~810년)
4. 2. 고닌 (弘仁, 810년~824년)
4. 3. 덴초 (天長, 824년~834년)
4. 4. 조와 (承和, 834년~848년)
4. 5. 가쇼 (嘉祥, 848년~851년)
4. 6. 닌주 (仁寿, 851년~854년)
4. 7. 사이코 (斉衡, 854년~857년)
4. 8. 덴난 (天安, 857년~859년)
4. 9. 조간 (貞観, 859년~877년)
4. 10. 간교 (元慶, 877년~885년)
4. 11. 닌나 (仁和, 885년~889년)
4. 12. 간표 (寛平, 889년~898년)
4. 13. 쇼타이 (昌泰, 898년~901년)
4. 14. 엔기 (延喜, 901년~923년)
4. 15. 엔초 (延長, 923년~931년)
4. 16. 조헤이 (承平, 931년~938년)
4. 17. 덴교 (天慶, 938년~947년)
4. 18. 덴랴쿠 (天暦, 947년~957년)
4. 19. 덴토쿠 (天徳, 957년~961년)
4. 20. 오와 (応和, 961년~964년)
4. 21. 고호 (康保, 964년~968년)
4. 22. 안나 (安和, 968년~970년)
4. 23. 덴로쿠 (天禄, 970년~973년)
4. 24. 덴엔 (天延, 973년~976년)
4. 25. 조겐 (貞元, 976년~978년)
4. 26. 덴겐 (天元, 978년~983년)
4. 27. 에이간 (永観, 983년~985년)
4. 28. 간나 (寛和, 985년~987년)
4. 29. 에이엔 (永延, 987년~989년)
4. 30. 에이소 (永祚, 989년~990년)
4. 31. 쇼랴쿠 (正暦, 990년~995년)
4. 32. 조토쿠 (長徳, 995년~999년)
4. 33. 조호 (長保, 999년~1004년)
4. 34. 간코 (寛弘, 1004년~1012년)
4. 35. 조와 (長和, 1012년~1017년)
4. 36. 간닌 (寛仁, 1017년~1021년)
4. 37. 지안 (治安, 1021년~1024년)
4. 38. 만주 (万寿, 1024년~1028년)
4. 39. 조겐 (長元, 1028년~1037년)
4. 40. 조랴쿠 (長暦, 1037년~1040년)
4. 41. 조큐 (長久, 1040년~1044년)
4. 42. 간토쿠 (寛徳, 1044년~1046년)
4. 43. 에이쇼 (永承, 1046년~1053년)
4. 44. 덴기 (天喜, 1053년~1058년)
4. 45. 고헤이 (康平, 1058년~1065년)
4. 46. 지랴쿠 (治暦, 1065년~1069년)
4. 47. 엔큐 (延久, 1069년~1074년)
4. 48. 조호 (承保, 1074년~1077년)
4. 49. 조랴쿠 (承暦, 1077년~1081년)
4. 50. 에이호 (永保, 1081년~1084년)
4. 51. 오토쿠 (応徳, 1084년~1087년)
4. 52. 간지 (寛治, 1087년~1094년)
4. 53. 가호 (嘉保, 1094년~1096년)
4. 54. 에이초 (永長, 1096년~1097년)
4. 55. 조토쿠 (承徳, 1097년~1099년)
4. 56. 고와 (康和, 1099년~1104년)
4. 57. 조지 (長治, 1104년~1106년)
4. 58. 가쇼 (嘉承, 1106년~1108년)
4. 59. 덴닌 (天仁, 1108년~1110년)
4. 60. 덴에이 (天永, 1110년~1113년)
4. 61. 에이큐 (永久, 1113년~1118년)
4. 62. 겐에이 (元永, 1118년~1120년)
4. 63. 호안 (保安, 1120년~1124년)
5. 가마쿠라 시대 (1185년~1333년)
1185년 고토바인 때 분지(文治) 연호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분지는 분지 지진에 의해 개원되었다. 이후 1190년에는 겐큐(建久)로 연호가 변경되었는데, 삼합(三合)에 의한 개원이었다.
1199년 쓰치미카도인이 즉위하면서 쇼지(正治)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201년에는 신유혁명에 따라 겐닌(建仁)으로 연호가 변경되었고, 1204년에는 갑자혁령에 의해 겐큐(元久)로 다시 연호가 변경되었다. 1206년에는 겐에이(建永)로 연호가 변경되었는데, 적반창 또는 섭정 구조 요시미치의 급사를 원인으로 보는 설이 있다. 1207년 조겐(承元)으로의 연호 변경은 삼합(三合) 또는 포창을 원인으로 보는 설이 있다.
1211년 준토쿠인 즉위와 함께 겐랴쿠(建暦)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213년에는 겐포(建保)로 연호가 변경되었는데, 지진에 의한 개원으로 보인다. 1219년 주쿄 천황 때 조큐(承久)로 연호가 변경되었는데, 한발과 삼합에 의한 개원이었다.
1222년 고호리카와인 즉위에 따라 조오(貞応)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224년에는 천변 염한(天變炎旱)에 의해 겐닌(元仁)으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225년 가로쿠(嘉禄)로의 연호 변경 이유는 해당 항목을 참조하도록 되어있다. 1227년 안테이(安貞)로의 연호 변경은 천변이 잇따랐기 때문이며, 삼합이나 포창의 유행도 영향을 미쳤다. 1229년 간키(寛喜)로의 개원은 천재와 기근 때문이었다. 1232년 조에이(貞永)로의 연호 변경 이유는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다.
1233년 시조인 때 덴푸쿠(天福)로 연호가 변경되었으나,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1234년 분랴쿠(文暦)로의 연호 변경은 천변 지진 때문이었다. 1235년 가테이(嘉禎)로의 개원은 지진 빈발 때문이었다. 1238년 랴쿠닌(暦仁)으로의 개원은 천변 때문이었다. 1239년 엔오(延応)로의 개원은 천변이나 지진 때문이었다. 1240년 닌지(仁治)로의 개원은 혜성, 지진, 한발 등에 의한 것이었다.
1243년 고사가인 즉위에 따라 간겐(寛元)으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247년 고후카쿠사인 즉위에 따라 호지(宝治)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249년 겐초(建長)로의 개원은 천변과 화재 때문이었다. 1256년 고겐(康元)으로의 개원은 적반창 때문으로 보인다. 1257년 쇼카(正嘉)로의 개원은 태정관청 등 시설의 소실이 잇따른 것에 의한 것이었다. 1259년 쇼겐(正元)으로의 연호 변경 이유는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1260년 가메야마인 즉위에 따라 분오(文応)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261년 고초(弘長)로의 개원은 신유혁명에 의한 것이었다. 1264년 분에이(文永)로의 개원은 갑자혁령에 의한 것이었다.
1275년 고우다인 때 겐지(建治)로 연호가 변경되었으나,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1278년 고안(弘安)으로의 개원은 역병 때문으로 보인다.
1288년 후시미인 즉위에 따라 쇼오(正応)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293년 에이닌(永仁)으로의 개원은 천변과 간토의 지진 때문이었다.
1299년 고후시미인 즉위에 따라 쇼안(正安)으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302년 고니조인 즉위에 따라 겐겐(乾元)으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303년 가겐(嘉元)으로의 개원은 혜성과 가뭄 때문이었다. 1306년 도쿠지(徳治)로의 개원은 천변 때문이었다.
1308년 하나조노인 즉위에 따라 엔쿄(延慶)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311년 오초(応長)로의 개원은 역병 때문이었다. 1312년 쇼와(正和)로의 개원은 천변 지진 때문이었다. 1317년 분포(文保)로의 개원은 대지진 등에 의한 것이었다.
1319년 고다이고인 즉위에 따라 겐오(元応)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1321년 겐코(元亨)로의 개원은 신유혁명에 의한 것이었다. 1324년 쇼추(正中)로의 개원은 갑자혁령에 의한 것이었다. 1326년 가랴쿠(嘉暦)로의 개원은 역병과 지진 때문이었다. 1329년 겐토쿠(元徳)로의 개원은 역병 때문이었다.
1331년, 고다이고 천황(다이카쿠지 통)은 토막 계획 발각 후 겐코로 개원했으나, 가마쿠라 막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겐토쿠를 계속 사용하며 고곤 천황(지묘인 통)을 옹립했다.
5. 1. 분지 (文治, 1185년~1190년)
5. 2. 겐큐 (建久, 1190년~1199년)
5. 3. 쇼지 (正治, 1199년~1201년)
5. 4. 겐닌 (建仁, 1201년~1204년)
5. 5. 겐큐 (元久, 1204년~1206년)
5. 6. 겐에이 (建永, 1206년~1207년)
5. 7. 조겐 (承元, 1207년~1211년)
5. 8. 겐랴쿠 (建暦, 1211년~1213년)
5. 9. 겐포 (建保, 1213년~1219년)
5. 10. 조큐 (承久, 1219년~1222년)
5. 11. 조오 (貞応, 1222년~1224년)
5. 12. 겐닌 (元仁, 1224년~1225년)
5. 13. 가로쿠 (嘉禄, 1225년~1227년)
5. 14. 안테이 (安貞, 1227년~1229년)
5. 15. 간키 (寛喜, 1229년~1232년)
5. 16. 조에이 (貞永, 1232년~1233년)
5. 17. 덴푸쿠 (天福, 1233년~1234년)
5. 18. 분랴쿠 (文暦, 1234년~1235년)
5. 19. 가테이 (嘉禎, 1235년~1238년)
5. 20. 랴쿠닌 (暦仁, 1238년~1239년)
5. 21. 엔오 (延応, 1239년~1240년)
5. 22. 닌지 (仁治, 1240년~1243년)
5. 23. 간겐 (寛元, 1243년~1247년)
5. 24. 호지 (宝治, 1247년~1249년)
5. 25. 겐초 (建長, 1249년~1256년)
5. 26. 고겐 (康元, 1256년~1257년)
5. 27. 쇼카 (正嘉, 1257년~1259년)
5. 28. 쇼겐 (正元, 1259년~1260년)
5. 29. 분오 (文応, 1260년~1261년)
5. 30. 고초 (弘長, 1261년~1264년)
5. 31. 분에이 (文永, 1264년~1275년)
5. 32. 겐지 (建治, 1275년~1278년)
5. 33. 고안 (弘安, 1278년~1288년)
5. 34. 쇼오 (正応, 1288년~1293년)
5. 35. 에이닌 (永仁, 1293년~1299년)
5. 36. 쇼안 (正安, 1299년~1302년)
5. 37. 겐겐 (乾元, 1302년~1303년)
5. 38. 가겐 (嘉元, 1303년~1306년)
5. 39. 도쿠지 (徳治, 1306년~1308년)
5. 40. 엔쿄 (延慶, 1308년~1311년)
5. 41. 오초 (応長, 1311년~1312년)
5. 42. 쇼와 (正和, 1312년~1317년)
5. 43. 분포 (文保, 1317년~1319년)
5. 44. 겐오 (元応, 1319년~1321년)
5. 45. 겐코 (元亨, 1321년~1324년)
5. 46. 쇼추 (正中, 1324년~1326년)
5. 47. 가랴쿠 (嘉暦, 1326년~1329년)
5. 48. 겐토쿠 (元徳, 1329년~1331년/1332년)
6. 겐무 신정 (1333년~1336년)
wikitext
고다이고 천황이 겐무 신정을 시작하면서 개원하였다. 겐무 신정 붕괴 후, 고다이고 천황은 남조를 세우고 엔겐으로 개원하였으나,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고묘 천황을 옹립하고 '겐무' 연호를 계속 사용하였다. 1334년 음력 1월 29일(3월 5일)부터 1336년 음력 2월 28일(4월 11일)까지 남조에서 사용되었고, 1338년 음력 8월 27일(10월 10일)부터 북조에서 사용되었다.
6. 1. 겐코 (元弘, 1331년~1334년, 다이카쿠지 황통)
고다이고 천황은 가마쿠라 막부의 겐토쿠 연호를 인정하지 않고, 1331년 음력 8월 9일(양력 9월 11일)부터 1334년 음력 1월 29일(양력 3월 5일)까지 독자적으로 겐코(元弘) 연호를 사용하였다. 오키로 유배된 고다이고 천황은 겐코 연호를 계속 사용하였으나, 가마쿠라 막부에 의해 옹립된 고곤 천황은 쇼케이로 개원하였다.6. 2. 쇼쿄 (正慶, 1332년~1333년, 지묘인 황통)
1332년 음력 4월 28일(5월 23일) 고곤 천황이 가마쿠라 막부의 옹립에 따라 즉위하면서 쇼쿄(正慶, しょうきょう) 연호가 사용되었다. 고다이고 천황은 오키 제도로 유배되었다. 1333년 음력 5월 25일(7월 7일)까지 2년간 사용되었다.6. 3. 겐무 (建武, 1334년~1336년/1338년)
고다이고 천황이 겐무 신정을 시작하면서 개원하였다. 겐무 신정 붕괴 후, 고다이고 천황은 남조를 세우고 엔겐으로 개원하였으나,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고묘 천황을 옹립하고 '겐무' 연호를 계속 사용하였다. 1334년 음력 1월 29일(3월 5일)부터 1336년 음력 2월 28일(4월 11일)까지 남조에서 사용되었고, 1338년 음력 8월 27일(10월 10일)부터 북조에서 사용되었다.7. 무로마치 시대 (1336년~1573년)
북조: 5년